정규리그 종합 순위 현황(4라운드 종료 기준)
프로당구 2025-26시즌 PBA 팀리그가 지난 11월 24일 4라운드까지 모든 일정을 마치면서, 정규리그 종합 순위 판도도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정규리그는 총 5개의 라운드로 치러지며, 현재 시점에서는 4라운드까지의 누적 성적이 반영된 상태입니다.
상위권에서는 하나카드 하나페이가 승점 70점으로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24승 12패, 세트 기준으로는 121승 97패, 세트 득실률 1.247, 득점 1841점과 실점 1688점을 기록하며 공격과 수비 모두에서 안정적인 팀 컬러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2위는 승점 69점의 SK렌터카 다이렉트입니다. 23승 13패, 세트 120승 95패로 세트 득실률이 1.263에 달하며, 득점 1796점, 실점 1673점으로 점수 득실률 또한 1.074를 기록해 언제든지 1위 자리를 위협할 수 있는 추격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위 웰컴저축은행 웰컴피닉스는 승점 62점, 21승 15패, 세트 113승 94패, 세트 득실률 1.202, 득점 1750점과 실점 1570점으로, 상위 두 팀과 함께 ‘3강 구도’를 형성하며 포스트시즌 직행을 노리고 있습니다.
중위권에서는 4위 하이원리조트 하이원 위너스가 승점 53점, 16승 20패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세트 성적은 108승 109패로 거의 비슷하지만, 득점 1697점, 실점 1782점으로 점수 득실률은 0.952에 머물러 있어 5라운드에서의 반등이 중요해 보입니다. 5위 우리금융캐피탈 우리WON위비스는 승점 51점, 14승 22패, 세트 107승 112패, 득점 1803점, 실점 1812점으로 점수 득실률 0.995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진출권을 향한 막판 추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위권 경쟁도 치열합니다. 6위 하림 드래곤즈는 승점 50점으로 상위권과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19승 17패, 세트 104승 105패, 득점 1702점과 실점 1754점을 기록하며 언제든지 중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는 성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7위 크라운해태 라온은 승점 49점, 16승 20패, 세트 106승 111패, 득점 1704점, 실점 1727점으로 점수 득실률 0.987을 기록하며 4라운드 우승팀답게 5라운드 반격을 노리고 있습니다.
8위 에스와이 빌더스는 승점 47점, 16승 20패, 세트 90승 110패로 세트 득실률이 0.818에 그치고 있으며, 득점 1562점, 실점 1681점으로 점수 득실률 0.929를 기록 중입니다. 9위 NH농협카드 NH pay는 승점 46점, 16승 20패, 세트 103승 115패, 득점 1745점, 실점 1806점, 점수 득실률 0.966을 기록하며 5라운드 대반전을 통한 순위 상승을 노려야 하는 입장입니다.
10위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는 승점 43점, 15승 21패, 세트 91승 115패, 득점 1632점, 실점 1739점으로 점수 득실률 0.938을 기록하고 있으며, 5라운드에서의 성적에 따라 포스트시즌 진출 가능성이 갈리게 됩니다.
PBA 팀리그 향후 경기 일정 – 5라운드와 포스트시즌
정규리그는 시즌 전체를 통틀어 5개의 라운드로 구성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미 1라운드부터 4라운드까지의 일정은 모두 마무리되었고, 남은 정규리그는 내년 1월에 열리는 5라운드 한 번뿐입니다. 5라운드는 2026년 1월 3일경에 개막해 약 9일간 치러질 예정이며, 이 5라운드가 끝나면 곧바로 시즌 우승 팀을 가리는 포스트시즌에 돌입합니다.

라운드별 일정으로 보면, 1라운드부터 4라운드까지는 이미 모두 소화했고, 5라운드가 사실상 정규리그의 마지막 분수령이 됩니다. 각 팀은 5라운드에서 최종 승점을 쌓아 정규리그 종합 순위를 끌어올려야 하며, 특히 아직 라운드 우승을 차지하지 못한 팀들은 5라운드 우승을 통해 포스트시즌 진출을 노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잡게 됩니다. 정규리그 전체 종합 순위는 포스트시즌 진출 팀 선정과 대진표에서의 어드밴티지 부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5라운드는 어느 라운드보다 치열한 승부가 예상됩니다.
포스트시즌 경기 방식
포스트시즌에는 총 5개 라운드의 우승팀이 진출합니다. 다만 한 팀이 여러 라운드에서 중복 우승을 차지한 경우에는 정규리그 종합 순위 상위 팀이 대신 포스트시즌 티켓을 가져가게 됩니다. 이렇게 구성된 포스트시즌 진출 팀들은 정규리그 종합 순위를 기준으로 와일드카드,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파이널로 이어지는 토너먼트를 치르게 됩니다.
먼저 와일드카드 시리즈는 포스트시즌 진출 팀 가운데 정규리그 종합 4위와 5위가 맞붙는 2전 2선승제 시리즈로 치러집니다. 이때 정규리그 4위 팀에게는 1승 어드밴티지가 주어져, 실제 경기에서는 한 번만 이기면 시리즈 승자가 되는 구조입니다. 와일드카드에서 살아남은 팀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해 정규리그 종합 3위 팀과 3전 2선승제 시리즈를 펼칩니다.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이어지는 플레이오프에서 정규리그 종합 2위와 5전 3선승제 시리즈를 치르게 됩니다. 여기서 승리한 팀은 마지막 파이널에 올라 정규리그 종합 1위 팀과 7전 4선승제 시리즈를 펼쳐 최종 시즌 우승팀을 가리게 됩니다. 즉, 정규리그 순위가 높을수록 적은 경기 수로 파이널에 진출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유리한 고지에서 시즌 우승에 도전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PBA 팀리그 우승 준우승 상금 및 시상
이번 시즌 PBA 팀리그는 정규리그와 포스트시즌에 걸쳐 우승팀과 상위 입상 팀에게 상당한 규모의 상금이 주어집니다. 시즌의 최종 목표가 되는 포스트시즌 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한 팀에게는 시즌 우승 상금 1억원이 주어지며, 준우승 팀에게는 5천만원의 상금을 받습니다. 또한 정규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는 정규리그 매 라운드별 MVP 상금 100만원이 주어지고, 포스트시즌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선수에게는 포스트시즌 MVP 상으로 상금 500만원이 수여됩니다.

이처럼 팀리그 상금 구조는 팀 단위 성적과 더불어 개인의 기량과 활약을 동시에 평가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정규리그 종합 순위에서 상위권에 자리 잡은 팀일수록 포스트시즌 진출과 우승 가능성이 커지고, 그만큼 상금과 명예를 동시에 노릴 수 있습니다. 남은 5라운드와 포스트시즌에서 각 팀과 선수들이 어떤 반전을 보여 줄지, 또 최종적으로 시즌 우승 트로피와 MVP 타이틀이 누구의 손에 안길지 팬 여러분께서 지켜보시는 재미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Sports > PBA팀리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BA 팀리그 4라운드 우수 선수 - 개인 승률 Top3 (프로당구 2025-26) (0) | 2025.11.25 |
|---|---|
| PBA 팀리그 4라운드 우수 선수- 개인 승수 TOP3 랭킹 (프로당구 2025-26) (0) | 2025.11.25 |
| PBA 팀리그 4라운드 9일차 경기결과 및 최종 팀 순위 - 크라운해태 우승(프로당구 2025-26) (0) | 2025.11.25 |
| PBA 팀리그 4라운드 우승 프로 당구팀은 크라운해태 라온으로 확정 (2025-26) (0) | 2025.11.24 |
| PBA 팀리그 4라운드 8일차 팀 순위 및 경기결과 (프로당구 2025-26) (0) | 2025.11.24 |